LPWAN: Low-Power wide-area network
평소에는 power saving모드로 작동하다가, 필요시 정상작동 됨
왼쪽 Non 3GPP standards: 비표준
(오른쪽은 표준임)
LoRa:
- 900MHz(비면허대역)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
- 간단한 모니터링 용으로 주로 사용됨
기지국에 LoRA단말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에 따라 class를 구별함
class A: (description 참조)
단말이 기지국에 reporting 할 때만, 기지국도 단말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
(power saving 성능이 좋음)
class B:
단말이 주기적으로 깨어나기 때문에, 기지국도 regular하게 단말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
class C:
아무때나 보낼 수 있음
Long Term Evolution (LTE: 4세대)
주파수가 높은 2620~2640: down load를 위한 대역
주파수가 낮은 2500~2520: up load를 위한 대역임
** 5G는 up/down link를 주파수대역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, 시간차로 분리함
Cat-M: Machine-to-Machine(IoT용도라는 뜻 = LTE-M)
Rel.13: NBIoT에 해당하는 release
대역폭을 좁게할때의 장점
1. 에너지를 줄일 수 있음
2. coverage를 넓힐 수 있음
따라서 Cat-M보다 NBIoT가 더 IoT서비스에 적합함
Cloud RAN
RRH : Remote Radio Head
RRH는 옥상에 달려있고 그것들이 Central Processing(ex. 광화문)에 모여서 처리가 됨
기지국이 1ms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함
1ms 내에 14번의 cosine신호를 받는다는 뜻임
(0~6개로 총 7번인데, 0.5ms씩 발생하므로)
= 7OFDM symbols per slot
가로는 7개, 세로는 12개임
세로는 12bit라는 뜻이므로 총 84bit의 정보를 실을 수 있음
그러므로 0.5ms에서 1ms로 확장하면 168bit의 정보임
(36page 시험)
Q: Determine the maximum downlink capacity (bps) in 10 MHz LTE systems.
(밑줄만 바꿔서 시험낼 듯)
12*15 = 180KHz
그러므로 LTE Resouce Grid의 세로는 180KHz(약 200KHz로 계산)를 차지하는 것임
**NBIoT가 대략 200KHz를 사용하는 이유가 위의 계산때문임
문제에서 10MHz이므로 세로 50개의 사각형이라고 생각하면 됨
과정:
– There are 50 RBs in 10 MHz
– Maximum MCS: 64QAM 5/6 : 5 bit per symbol
** 5/6: 6개중 5개만 진짜라는 것임
** 64 = 2^6
그러므로 6big * (5/6) = 5bits임
12*14*1000*5bits
Answer: 정답
Capacity = 42 Mbps
50 RBs * 12 carriers/RBs * 7 symbols/subframe * 1 subframe/0.5 ms * 5bits/symbol/carrier
50*12*7*(1/0.5)*5
LTE-Advanced
속도를 높이는 방법 = Carrier aggregation
Carrier aggregation: 10MHz짜리를 여러개를 붙여서 사용하는 idea
LTE-M vs. NB-IoT
NB: Narrow band(180~200KHz주파수)
LTE-M1: 속도가 빠름 (한달에 3000원정도)
NB-IoT: 차량카메라의 이미지 한장정도 전달 가능(한달에 1500원정도)
'IT > 사물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G (0) | 2023.06.01 |
---|---|
IoT DevicesHardware and Software (0) | 2023.05.31 |
RFID, NFC, Zigbee (0) | 2023.05.20 |
Bluetooth (1) | 2023.05.19 |
WIFI (0) | 2023.05.16 |